지갑 - Wallet
Last updated
Last updated
모든 비트코인 지갑은 커스터디와 셀프 커스터디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각각 어떤 특징이 있는지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커스터디 지갑 | 셀프 커스터디 지갑 |
---|---|---|
개인키 관리 주체 | 지갑 제공자 | 개인 |
자산 통제권 | 지갑 제공자 | 개인 |
자산 복구 방법 | 지갑 제공자가 정보 제공 | 개인 스스로 복구 |
리스크 | 지갑 제공자가 없어지면 자산을 찾지 못함 | 개인키를 분실하면 자산을 찾지 못함 |
구별법 | 니모닉을 스스로 만들 수 없고 주소만 제공하는 거래소 지갑 전체 | 니모닉을 스스로 만들 수 있는 지갑 전체 |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지갑은 '여러분의 지갑'이 아닙니다. 'Not your Key, Not your Bitcoin'을 기억하세요. 저는 셀프 커스터디 지갑 한정으로 설명하겠습니다. 비트코인 셀프 커스터디 지갑을 소프트지갑과 하드지갑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소프트웨어로 만들어진 지갑입니다. 개인키가 인터넷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에 따라서 핫지갑과 콜드지갑으로 다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핫지갑 - 앱이나 데스크톱에 설치하는 소프트웨어로 인터넷에 연결되면 기본적으로 핫 상태로 지갑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터넷에 개인키가 노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소프트지갑은 핫지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콜드지갑 - 데스크톱용 소프트지갑 중에서 랜선을 뽑아 오프라인 상태로 니모닉만 생성한 후 관전모드(와치온리, watch-only) 지갑에 공개키만 연동하여 사용하는 경우 소프트지갑이지만 콜드지갑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일렉트럼과 스패로우는 활용하기에 따라서 콜드지갑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데스크톱에 설치하는 소프트지갑이지만, 랜선을 뽑은 상태에서 이 지갑으로 니모닉을 생성하고 이후 인터넷과 다시 연결하지 않으면 콜드지갑이 됩니다.
모바일 앱 비트코인 지갑 중에서 관전모드를 지원하는 것이 있으면 연결하여 DCA 할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제가 이렇게 비트코인 콜드지갑을 만들어 DCA 하고 있습니다.
저는 DCA를 통해 입금만 진행하고 장기간 출금을 할 생각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으로 콜드지갑을 만들어 사용 중입니다.
스패로우의 경우 관전모드 앱과 함께 사용하면 에어갭 트랜잭션으로 개인키 노출 없이 출금할 수도 있습니다.
하드웨어로 만들어진 지갑입니다.
하드지갑은 기본적으로 콜드지갑의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
하드지갑과 모바일 앱을 조합하여 에어갭 트랜잭션을 할 수 있도록 설정하면 개인키 노출 없이 출금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지갑 속에는 비트코인이 없습니다.
비트코인 지갑은 할당받은 비트코인을 확인할 수 있는 '관문'의 역할을 할 뿐입니다.
따라서 하드웨어 지갑을 분실하거나, 소프트웨어 지갑을 삭제했다고 해서 비트코인이 함께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관문은 어떤 것이든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지갑에 집중하기 보다는 지갑을 만들고 권한을 얻을 수 있는 개인키가 훨씬 더 중요합니다.
개인키를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BIP39에서 제안되어 사용 중인 것이 바로 니모닉(Memonic)입니다.
니모닉 관리가 지갑 관리 보다 훨씬 중요합니다.